pmma 벌크중합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15:17
본문
Download : pmma 벌크중합.hwp
2. 實驗원리
단량체, 개시제만으로 간단히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은 기체 및 고체 상태에서도 가능하지만 주로 액체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중합방법은 간편하면서도 고순도 및 높은 분자량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advantage이 있지만 反應시 열제거가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생성된 중합체가 단량체에 용해되지 않으며 또한 反應계의 점도가 높아 중합에 기술적인 문제가되는점 이 뒤따르게 된다 대부분 벌크중합은 단량체나 중합체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데 反應이 진행되면서 분자량과 용융점도가 증가하므로 낮은 압력하에서도 反應계에 생성된 부反應물(물, 알코올 등)의 제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온도를 서서히 올리며 중합을 시켜야 하는데 아주 높은 분자량의 중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反應 종결단계까지 250℃까지 올려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때는 최종 중합체의 열안정성이 양호해야만 한다.
pmma 벌크중합
pmma 벌크중합
Download : pmma 벌크중합.hwp( 39 )
순서
1. 實驗목적
기존에 만들어 놓은 MMA(Methylmethacrylate)를 단량체로 이용해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을 통하여 고분자형태인 PMMA(Polymethylmethacrylate)을 만들고 개시제 농도에 따른 용해도및 IR, DSC 측정(測定) 값을 통해 理論치와 비교하여 實驗원리를 이해하고 차이점을 검토한다. 이들 라디칼들은 단량체에 작용, 연속적인 反應을 유발시켜 사슬이 자라게 하므로 중합체 사슬성장은 연쇄이동(Chain Transfer)에 의한다. 연쇄이동은 성장하는 중합체의 활성점(Active site)이 단량체, 생성중합체, 용매 등으로 이동하여 일어나는데 벌크중합에서는 용매의 부재없이 진행되므로 단량체나 생성중합체등에 의한 연쇄이동이 생기게 된다 연쇄이동제를 첨가하였을 때는 분자량이 연쇄이동제의 농도에 의존하고 연쇄 이동제를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중합 전환율이 시간에 의존한다.
3. 實驗방법
① 교반기에 250mL 삼구플라스크를 올려놓고 냉각장치 및 온도계 등을…(省略)
pmma 벌크중합 , pmma 벌크중합화학실험결과 , pmma 벌크중합
설명
pmma,벌크중합,화학,실험결과




실험결과/화학
다.